반응형
K2 흑표나 K9 천궁이 폴란드로부터 대량으로 수출하는데 성공하고 좋은소식이 많이 들리는데 일반인들의 경우 탱크라고 뭉뚱거리고 군대에 갔다온 남자라고해도 전차부대에 소속되거나 특별히 밀리터리 군사에 관심이 많은 것이 아니라면 이 둘의 차이점을 잘 모를수도 있음
1. 전차와 자주포의 역할
일단 역할부터 알아봐야겠죠??

전차는 지상전의 왕자입니다 전차라는 개념이 등장한 1차 대전에는 그냥 장갑이 둘러쳐져서 적 참호를뚫고 포를 쏘고 기관총을 쏠수있는 움직이는 벙커 역할이였다면
현대는 육군 전투부대의 가장 큰 기동력과 화력을 담당해주는 장비입니다 특히나 보병과 같이 함께 움직이면서 지속적인 전투력을 제공해준다는걸 생각하면

전폭기나

공격헬기에 비해 전선유지능력이나 지속적인 화력투사는 전차가 최고입니다
그리고 보병의 든든한 가림막이기도 합니다
자주포는 뭐냐!

이런 화포를 그냥 운용하면 고정되고 움직이기 힘들기에 적의 공격에 취약하겠죠? 그래서

장갑판을 두른 차체를 씌워서 운용인원을 보호하면서 장거리 화력지원을 해주는 역할입니다 그리고 저런 견인포를 질질 끌고댕겨야하기때문에 최초의 자주포는

이렇게 기갑차량 차대에다가 곡사포를 얹었죠ㅇㅇ
이후엔 자체적으로 기동할수있게 차체와 포탑을 결합해서 자주포의 개념을 만들어냅니다
물론 자주포 중에서는 저렇게 포탑식이 아닌

M110 203mm 자주포같이 노천식 자주포도 있었습니다
2. 전차와 자주포의 사격 방식

전차의 경우 직사방식입니다 조준경을 통해 보이는 적을 바로 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아무리 길어야 3~4km의 적을 공격하는 방식입니다
자주포의 경우

짤처럼 포신을 고각으로 들어올려 사격하며 직접보고 쏘는 직접사격방식이 아닌 겨냥대 겨냥틀을 이용한 간접 사격방식을 이용합니다 요즘에는 gps와 드론을 이용해서 좌표를따가지고 때리기도합니다 물론 자주포도 직사 사격 훈련을 합니다 화력지원 장비인 자주포가 직사사격 할정도면 이미 전선은 무너졌고 마지막 발악을 하는거라고 보면 됩니다
3. 그래서 어떻게 구분하는데요?
일단 사진을 함 봅시다

전차의 경우 낮은 차체와 낮은 포탑을 가지고 있고 많은 부분에 경사장갑이 달려 있으며 포탑이 차체 중앙에 위치하며
포의 경우 105mm나 120mm(서구권제) 또는 125mm(동구권제) 주포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요즘 추세는 포에 강선이 파여있는 강선포 보다는 강선없이 매끈한 활강포가 주력입니다
(105mm포의 경우 강선포가 다수고 120mm는 활강포가 다수입니다)
그에 반해 자주포의 경우

전차보다 높은 차체 높은 포탑 그리고 엄청 긴 포신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자주포의 경우 155mm(서구권제) 곡사포를 장착하고있고 동구권제의 경우 152mm곡사포를 장착합니다
그리고 포탑의 경우 차체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반동 흡수 및 주포길이때문에 포탑이 차체 후방으로 밀려나있는 형태입니다
모습을 보면 차이가 좀 큽니다
아 물론 가끔가다 돈이 많지 않은 국가들은

이렇게 값싼 T-54/55 전차들을 사용하는데 이런 T-55전차들을
(영상은 한국전 당시 미군 M26 퍼싱전차를 화력지원 자산으로 쓰는 영상) 흙더미에 가져다 댄다음 포신각도를 올리거나 해서 장거리 간접사격을 하기도 합니다 사거리는 한 10~12KM까지 고폭탄을 날릴수 있다곤 합니다만 아무래도 본격적인 자주포가 아니라서 명중률은 많이 떨어진다고 하네요
정리하자면 뭔가 탱크 같은게 지나가는데 포탑이 차체 중앙에 위치하고 포가 차체 바깥으로 많이 나오지 않았다?
전차
포탑이 차체 뒤쪽으로 가있고 포신이 매우길다?
자주포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근데 제일 좋은 방법은 주변에 밀덕 친구가있다면 자주포 보고는 "야 탱크 멋있네!!!" 하고 전차 보고는 "자주포 개멋있네!!" 하면 눈깔 뒤집혀서 설명해줄겁니다
반응형
'그림과 사진 저장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 휘날리며에 등장하는 무기들 (0) | 2023.06.23 |
---|---|
목포에서 택시 탔다가 기사가 한소리한 빠니보틀, 곽튜브 (0) | 2023.06.23 |
민의의 전당, 세계 각국의 국회의사당 (0) | 2023.06.21 |
짭계정이 가장 많은 유튜버 빠니보틀 (0) | 2023.06.18 |
유명한 게임엔진들을 정리해보자 (0) | 2023.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