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캐시1 구형 라이젠 프레임 드랍의 원인 (윈도우 10 1903) 본론부터 말하자면 구조적인 결함이라고 하기에는 그렇고, 구조적인 한계이기 때문에 소프트웨어나 설정으로는 잡을 수 없다. 램 오버를 해봐라던가, SSD프리징이 아니냐, 압축할때 빠르다(?) 온갖 소리가 나오는데 당연히 다 해봤을거다. 하지만 프레임 드랍, 간혈적인 프리징을 느낀다. 위 사진은 서밋릿지, 라이젠의 아키텍쳐 사진인데 8코어의 기준 4코어가 한 방에, 나머지 4코어가 다른 방에 이렇게 4+4 구조로 되어 있는거를 볼 수 있다. 이를 CCX구조라고 하는데, 코어를 늘리는데 큰이점을 얻을 수 있다. 가령 4+4를 하려고하는데 수율이 나오지 않아서 4+3인 다이가 나왔다. 하나 더 죽여버려서 3+3으로 만들어서 보내면 된다. 이런식으로 수율문제를 다양한 라인업으로 바꿀 수 있다. 코어 부활은 반대로 .. 2022. 5.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