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과 사회 그리고 역사

네이버 `삼국지톡` 정사 왜곡 정리

by 소수의견 2023. 11. 3.
반응형
`삼국지 판타지소설 아니었음? 우리나라 역사도 아닌데 왜곡하면 어떰?`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는데

보통 삼국지라고 했을때 떠오르는 `삼국지 연의`는 소설이지만, `정사 삼국지`라는 역사책이 존재함

이 글에서 말하는 왜곡은 <정사>에 대한 왜곡만을 뜻하는 것이고

기본적으로 역사라는 것 자체가 국적과 상관없이 왜곡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쓰는 글임

그리고 이 글을 씀으로써 다같이 작품을 손가락질 하자거나 욕 하자거나 그런 의도는 절대 없음

혹시라도 이 글을 보고 찾아가서 악플을 단다거나 그러지 말아줬으면 좋겠음 부탁드림

다만 왜곡은 민감한 부분인데도 잘 알려지지 않은 채 문제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잘못된 것을 바로잡기 위해서 이런 글도 필요하다고 생각했음

앞에 잡설이 긴 것치고 별 내용은 없을거임

이 글에는 삼국지/삼국지톡의 스포가 약간 포함되어 있음

본문 시작하겠음

* 웹툰의 캡처이미지를 인용했는데 네이버웹툰에서 사용을 허용해주는 조건은 다 지켰음
(무료공개분/인용목적/비영리/연속컷제한 등등)

---------------------------------------------------------------------------------------------------------------
 
문제의 웹툰은 네이버의 `삼국지톡`임



간단히 소개하자면 삼국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웹툰임 (광고 아님)
글 작가는 무적핑크 님, 그림 작가는 이리 님임

글작가님에 따르면 삼국지톡은 기본적으로 연의를 따르고 정사를 일부 따오기도 함

삼국지 컨텐츠가 대부분 그렇듯이 `정사 -> 연의 -> 삼톡`의 과정을 거친 삼국지 3차 창작물임

그런만큼 삼국지톡 고유의 창작이나 해석도 존재하는데 예를 하나 들면
 
 
 
 
 


형주 공방전에서 관우가 서황의 팔을 자른다는 충격적인 전개도 있음

오해하면 안되는데, 웹툰 전체가 이런 식은 아니고 이 장면이 가장 도전적이고 파격적인 내용이라고 보면 됨

서두에서 말했지만 이 글은 역사왜곡에 대해서만 얘기할생각임

그래서 이 장면처럼 새로운 창작/해석에서 오는 호불호는 제외하고 얘기할거임

`정사 연의 어느쪽이든 형주에서 서황이 관우를 이겼는데 이 장면이 왜곡이 아니면 뭐냐?` 이럴수도 있는데

삼국지 창작물에서 새로운 전개나 해석을 넣는 경우는 굉장히 많음 사실 안 그런걸 찾기가 더 어려움

게임 영걸전, 만화 창천항로, 영화 적벽, 드라마 신삼국 이런 컨텐츠들을 생각해보면

큰 흐름만 연의 혹은 정사를 따르고 나머지는 창작자가 변형시키거나 아예 새로운 내용으로 채워넣고 있음

연의와 정사에 저작권이 있는것도 아니고 이건 창작자의 자유라고 봐야 함

단지 새로운 내용에 따른 기존 독자의 호불호가 생기기 마련이고, 창작자가 그 결과를 감수해야 하는 것 뿐임

`그럼 도대체 니가 말하는 왜곡이 뭐임?` 그걸 본격적으로 소개하겠음


하단에 <정사>라면서 작가님의 각주가 달려있는게 보일거임

정사 삼국지는 쉽게 말해 삼국지 시대 인물을 다룬 역사책이고 저자는 `진수`임

삼국지에서 <정사>라고 하면 진수가 쓴 역사책 <정사 삼국지>만을 말하는거임

정사 외에는 추가로 이해를 돕거나 보충하기 위해 <후한서> <자치통감> 같은 다른 역사책을 참고하기도 함

역사책에는 소설에서 묘사하는 `제갈량의 동남풍 소환` `제갈량 수명연장 기도메타` 같은 판타지 요소가 당연히 없음

즉, <정사>는 진지한 역사를 다루는 것이고 서두에 말했듯이 어떤 경우에도 왜곡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함

위의 이미지를 다시보면 <정사>라고 해놓고 관우가 혼담을 제의한 손권에게 개드립을 쳤다고 써있음

그러나 <정사>에는 관우가 그런 말을 했다는 기록이 없음

<정사>에는 `혼담을 제의하러 온 사신에게 모욕을 했다`는 정도만 나와있고, 저 대사는 연의에 등장하는 내용임

삼국지톡에서 발생하고있는 왜곡 문제는 이렇게 <정사>의 잘못된 인용이 핵심임

삼톡이 연의를 기반으로 했다고 해도 <정사>의 내용을 각주로써 매우 많이 사용하고 있고

이 부분에서 오류가 생기면 말그대로 역사책의 내용이 왜곡되는거임

`거 실수한번 할수도 있지 저거 하나가지고 뭔 호들갑이냐?` 당연히 한 번은 아님 몇개만 더 소개하겠음


우리가 아는 그 조조가 십상시의 난 당시에 잠수를 탔다는 내용인데, 왜곡임
 
당시 서원팔교위로서 궁에 있었을 조조가 기록에서 싹 빠졌으니 저런 추측이나 창작은 충분히 가능함

하지만 증거가 없는 추측을 <정사>라고 표기하는건 오해의 소지가 클 뿐더러

하진과 원소의 의견에 반대했다는 내용은 아예 <정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작가님의 재량임

작가의 재량으로 추가한 내용을 <정사>라고 해버리면 당연히 왜곡임


손견의 부인 오국태가 명문가 출신이라는 내용인데, 왜곡임

애초에 삼톡의 `오국태`라는 인물은 `오태부인(무열황후 오씨)`을 작가님 임의로 재창작한 캐릭터임

정사에 나오는 손견의 부인은 `오태부인`과 `이름 모를 첩`, 총 두 명인데

연의에서는 이 둘을 모티브로 `오태부인`과 가공인물 `오국태`가 자매로 등장함

아마 작가님은 `오태부인`을 베이스로 두 사람을 퓨전하면서 `오국태`라는 명칭을 빌려 붙인 것 같음

이런 창작캐릭터가 <정사>에 기록되어 있을 리가 없으니 왜곡임

또한 오태부인과 첩이 명문가라는 기록이 어디에도 없으니 다시 한 번 왜곡임


제갈량의 부인인 황부인이 자동 나무인형을 만들었다는 내용인데...다들 느끼겠지만 왜곡임

삼국지는 180년대에 시작해서 280년쯤에 끝나는 엄청 옛날에 있었던 일임

말 탈 때 발딛는 등자도 발명이 됐었니 아니었니 하는 시대인데 로봇이 있겠음?

황부인 토니 스타크설은 <정사>가 아니라 <계해우형지>에 등장함

이건 원서는 사라졌고 다른 책에 인용된 내용으로만 전해지는데

심지어 그 내용도 `황부인이 그랬다고 전해진다~` 정도로, 신뢰할 수 없는 민담 수준의 내용임

`황월영`이라는 이름 또한 민간에서 전해진 것으로 <정사>와는 아무 상관없음

길게 말할 것도 없이 우드펑크 로봇에서 컷임


위나라 장수 서황이 백파적 출신이라는 내용인데, 물론 왜곡임

서황 첫 등장시 양봉이라는 사람의 부하였고, 양봉은 백파적 출신이 맞음

이걸 근거로 서황이 백파적 시절부터 양봉을 따라다녔을지도 모른다는 추측 정도는 해볼만함

하지만 추측 뿐인 내용을 <정사>라고 주장한다면 물론 왜곡임



여기까지 보여준 예시 외에도 명백히 `오류`라고 할만한 내용이 더 존재하며

창작물이라는 틀에서 일어나는 시시콜콜한 오류 요소 역시 산재해있음

사소한건 무시하더라도 시급히 바로잡아야 할 문제는 예시에 나오는 것 같은 <정사>왜곡 문제임

왜냐? <정사>에 없거나 틀린 내용을 <정사>라고 표기했기 때문임

소설 기반이라고 해서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여 도구로 사용해서는 안 될 일이고

우리 대한민국의 역사가 아니라고해서 왜곡을 쉽게 생각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함

이 인식에 대한 부분이 삼톡에 대한 가장 큰 비판점이고 이 글의 목적임

아래는 글작가님이 최근에 업로드한 SNS인데, 아마 최근 독자들의 피드백에 대한 리액션으로 보임



<정사>를 여러번 잘못 인용했음에도 왜곡이 아니라는 주장




역사적 사실에 오류가 있음에도 재밌으면 다 된다는 듯한 비유




독자들이 잘못된 피드백을 하고 있다는 뉘앙스의 발언


이런 식의 태도로 오류를 수정해달라는 합당한 피드백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임

이게 현재 삼톡의 왜곡 문제가 지속되는 있는 이유임

다시 말하지만, 이 글을 통해 글작가님을 다같이 손가락질하자는 의도는 전혀 없음

SNS글을 몇개 따로 떼어놓고 보니까 글의 내용이 독선적이고 독자비하적으로 보일 수 있음

최근 관우와 서황 묘사가 기존 컨텐츠와 비교해 이질적이었기 때문에 억까가 많았을 수 있다고 생각함

작가님도 사람이니까 예민해질 수 있다고 이해할 수 있음

하지만 작가님이 부당한 비난을 받았다고 해서 오류에 대한 비판이 무효화 되는게 아님

오류에 대한 지적을 수용하고 오류를 올바르게 수정하든가

오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면, 작가님 본인이 인용한 <정사>를 제시하고 해명하든가
 해야하는데

작가님이 왜곡이라는 인식조차 없어 보여서 너무나 안타까움

하루빨리 문제를 인지하시고 바른 방향으로 개선했으면 하는 바람임

또한 독자들도 이런 문제에 경각심을 갖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했으면 좋겠음

어쨋든 삼국지의 팬으로써 국내에 몇 없는 삼국지 웹툰 중 하나인 삼톡이

현재 이런 문제를 갖고 있음을 알리고 비판하는 글을 작성해봤음

많이 알려지고 해결되었으면 하기 때문에 맘대로 긁어가도 되는데, 오해의 소지를 막기 위해 꼭 전문을 가져가주길

여러번 강조했지만 혹시라도 이 글 때문에 무분별한 비난이 작품을 향하지 않았으면 좋겠음

피드백은 온건하고 생산적으로 부탁드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