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물과 사회 그리고 역사

문재인과 안희정 그리고 금강팀과 부산팀에 대해 알아보자

by 소수의견 2022. 5. 23.
반응형

친노의 주축에는 2개팀이 있다.

 

금강팀과 부산팀이다. 

금강팀은 한마디로 친노성골이다.

 

2002년 대선을 앞두고 노무현대선캠프가 여의도 금강빌딩에 꾸려졌다.

 

이른바 친노1세대로 금강빌딩에서 모였다고 금강팀이라고 불리운다.

 

정식명칭은 자치경영연구원으로 정책개발 및 싱크탱크 역할은 국민대 김병준교수를 원장으로 두고

 

정태인,유시민,유종일들이 했고. 실무는 안희정(이 당시 막내),이광재 등이,

 

외부활동은 서갑원,염동연,이강철,이해찬,천정배,원혜영등이 일했다.

 

선거와 조직의 귀재들이 뭉쳤다고 한다.

 

 

 


경선이 끝나고 노통이 대통령후보가 되면서 부산팀이 생긴다.

 

노통이 부산에서 변호사 및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알게된 사람들로 대선 두달전에 만들어진다.

 

새정치국민회의 부산 선대위본부가 정식 명칭이고 본부장이 문재인이었다.

 

멤버로는 이호철, 정윤재, 최인호, 송인배, 최도술등이 있다

금강팀은 청와대 입성을 거의 못했고, 나라종금사건으로 염동연,안희정이 검찰조사를 받고

 

나라종금사건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자

 

나라종금사건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자

이전에 정리한글 보다가 위의 글에서 나라종금사건에 대해서 언급했었는데, 뭔지 간략하게 적어봤다. 때는 2002년 노무현 대통령 당시 나라종합금융(이하 나라종금)이 퇴줄 위기에 몰렸는데, 이

think-of-minority.tistory.com

안희정은 1년 실형을 살게되는등 대통령 당선후 제대로 댓가를 받지 못한다.

 

반면에 부산팀은 이호철이 민정비서관,최도술이 총무비서관등 속속 청와대로 입성하고 인사에 관여하면서

 

고생은 금강팀이 하고 자리는 부산팀이 다 차지한다는 불만들이 커지기 시작했고 둘 사이가 갈라지게 된다.

이 기조가 지금까지 이어져 왔고 안희정과 문재인이 이번 경선을 치르면서 금강팀내에서

 

안희정을 미는 집단이 신금강팀으로 분화가 된거다. 

 

야당의 주요 계파 중 하나인 동교동계는 친노와는 앙숙관계로 반문 세력의 핵심임.

 

이들 역시 안희정의 잠재지지세력이고,  정세균계와 김종인계 등 친노와 사이가 좋지 않은 계파도 안희정에 우호적이라 힘을 받을수 있었음.

 

 

금강팀 출신들은 2012년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문재인 불가론’을 외치며 김두관 후보를 지원했지만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모임)’가 문재인을  지지하고 나서면서 고배를 마셔야 했고 이후 별다른 활동을 하지 않고 있었는데,

 

안희정캠프가  암암리에 이들을 모아 신금강팀를 만듬.

 

 

경남 진주  김경수 의원 부친상 빈소에서는 친문과 친안이 아예 자리를 따로 잡는 일도 벌어짐.

 

 

문재인과 안희정 모두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안희정계인 조승래 김종민 의원을 포함해 충청권의 더민주 의원들은 문 전 대표를 기다리던 친노계 당 인물들과는 인사도 하지 않고

 

안희정을 위해 다른 방에 자리를 잡고 기다렸고,

 

 

 

우연히 이 자리에 동석한 한 의원이 “문재인 대표가 옆방에 오셨는데 인사 안 하느냐”고 묻자

 

조승래 의원은 “우린 (안희정) 지사님을 기다린다”고 답하고 움직이지 않았다고 함.  

 

친안이 친문과는 완전히 결별할 것으로 보이는 에피소드임.

 


안희정 미투발생시 보호해주는 모습없이 기다렸다는듯 초스피드로 정리가 진행된 원인중 하나라고 본다.

 

 

문재인이 대통령이 되면서 금강팀은 소멸단계에 이르고,

 

부산팀은 몇개의 파벌로 분화되기 시작함.

 

 

 

부산팀중 친문핵심과 참여연대가 합쳐서 파벌 하나가 됨

 

현재 한국 정계는 이들이 원탑

 

 

 

성골 친노계, 민주노총계,전라도,동교동을 기반으로 하는 구민주계, 이재명등의 왕따파등이 이리 저리 조합을 해가며 원탑과 경쟁하는 중

 

 


한줄요약.  안희정과 문재인은 결이 다름, 그리고 친문핵심과 참여연대가 손잡고 20년 집권 플랜을 짜는중

 

 

반응형

댓글